안녕하세요.
꿈꾸는 루키입니다.
혹시,
저 수많은 아파트와 집들 중에
왜 내집은 없을까?
라고 생각해 보신적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주택청약 통장 가입부터 먼저하세요.
나의 집을 가질 수 있는
가장 쉽고 빠른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청년루키들을 위한
유용한 정책 중 하나인
주택청약종합저축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주변을 돌아보면
엄마, 이모, 사촌언니, 이모부, 옆집 철수 등등
주택청약저축을 가입했다는 이야기를
쉽게 들을 수 있습니다.
도대체 주택청약이 뭐길래?!!!
많이들 궁금하셨죠?
아직, 금융초보인 루키들을 위해
저 꿈꾸는 루키가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아, 물론 저도 금융 전문가는 아닙니다.
저도 많이 배우고있는 중인데
제가 배운 것들을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그럼 주택청약에 대해서 알아보실까요?
▣주택청약이란?
내 집마련을 위해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
분양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는
필수자격 요건입니다.
즉, 주택청약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증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죠?
청약저축통장이 없으면
분양에 참여할 기회조차 없다는것!
그래서 많은 이들이
가장 기본적으로 주택청약저축에 가입하는 것입니다.
내집마련을 위한
아파트 분양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지게 되니까요.
▣ 얼마씩 저축해야 할까?
주택청약통장만 있다고 해서
누구나 다 분양에 당첨되는 것은 아니죠.
가입기간과 납입횟수, 저축금액
그리고 부양자 수 등등
여러 조건들을 종합하여 점수를 매기게 되고
그 중 점수가
높은 사람에게 분양 당첨의 기회가 돌아가게 되죠.
이때,
한 회당 10만원 까지만 인정해주기 때문에
10만원 이상으로 넣을 필요가 없습니다.
그래서 청약통장에는
매달 10만원씩 넣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런데 나는 10만원까지 넣을 여유가 없다?
그러면 2만원이 최소금액이니
2만원씩이라도 부지런히 넣으세요.
단 매달 꼬박꼬박 넣으세요.
그럼 횟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아무래도 가점이 많아지겠죠?
(매달 10만원씩 넣는게 가장 좋기는 합니다)
▣청약의 조건은?
청약은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째, 공공분양/공공임대
국가에서 주택을 분양하고 임대하는 것으로
보다 더렴하게
주택을 공급해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아무래도 국가에서 저렴하게 제공하는 정책이다보니
조건이 조금 까다롭습니다.
① 무주택 세대주 (세대주와 세대원 모두)
②만 19세 이상
(배우자 또는 직계존비속인 세대원이 있는 세대주는 만 19세 미만도 청약 가능)
③ 소득기준 :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 평균소득 100%이하
④ 수도권 지역 : 가입 1년이상 12회 납부이상
수도권 외 지역 : 6개월 이상, 6회납부 이상
무주택 조건과 소득기준 조건이 있기 때문에
본인이 조건이 해당하는지
확인하는게 가장 먼저입니다!!
둘째, 민영분양/민영임대
민영분양과 임대는 이제 대충 감이 오시죠?
바로 국가가 아닌 민간 기업에서 분양을 하는 것입니다.
즉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푸*지오/래*안/이*한세상 등등의
아파트가 바로 민영분양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민영분양과 임대는
공공분양에 비해서는 가격이 높지요.
민영분양도 조건을 갖춰야지만 가능합니다.
① 수도권 : 가입 후 1년 경과
비수도권 : 가입 후 6개월 경과
② 지역별 예치금액 이상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③ 가점이 높은 순
(무주택기간, 부양가족수, 청약통장 가입기간)
두 종류를 비교해보면
아무래도 조건은 공공분양이 까다롭구요.
민영분양은 상대적으로 완화된 조건입니다.
하지만 가격에서 차이가 나니깐
자신의 조건을 확인해 보고
준비하는게 좋겠죠?
만약, 내가 소득이 높아서 공공분양은 힘들 것 같다?
그러면 민영분양를 준비하시는 게 확률이 훨씬 높겠죠.
나는 소득이 많지도 않고 무주택 세대주이다?
그렇다면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공공분양
★꿀팁★
나의 가점을 확인하고 싶다면?
APT2you 어플을 통해서 확인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LH청약센터 어플이나 사이트를 통해
확인 할 수 있고
어플에 분양정보 알림을 해 놓을 수도 있습니다.
"아휴, 지금 청약들어서 언제 내집마련하겠어?"
지금이 가장 빠른 기회입니다.
사람일은 모르는 거죠.
나에게도 분양권 당첨의 기회가 올지!!!
아직 주택청약에 가입하지 않은
루키들이 있다면
하루라도 빨리 가입하시기를 추천드릴게요.
다음에는
청년들에게 금리를 우대해주는
청년우대주택청약에 대해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공감버튼 눌러주세요 :)
감사합니다^^
'내일을 위한 >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핫한 체크카드/ KB국민 펭수 체크카드 (2) | 2020.03.15 |
---|---|
사회초년생을 위한 신용카드 추천 (2) | 2020.03.08 |
케이뱅크VS카카오뱅크 비교해보기 (0) | 2020.03.04 |
신용? NO, 알찬 혜택의 체크카드 추천 (2) | 2020.03.01 |
[청년정책] 청년우대형 주택청약 저축 총정리 (4) | 2020.02.27 |
사회초년생 신용카드 혜택 비교하기 (4) | 2020.02.24 |
청년 전/월세대출 한도 및 이자 쉽게 조회하기 (2) | 2020.02.20 |
광역알뜰교통카드로 교통비 절약하기!! (0) | 2020.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