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꿈꾸는 루키입니다.
직장을 다니고 있는 많은 루키분들 중에
자취를 하고 있는
분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지난시간에
내 집마련을 위한 첫걸음.
주택청약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주택청약 내용이 궁금하시면
위의 글을 클릭하시면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택청약은 조금은 먼 미래의 이야기겠죠.
지금 당장 살 곳 마련이 급한
사회초년생 및 청년들을 위한
대출이 요즘은 많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출이
바로 카카오 뱅크 대출이 아닐까 합니다.
카카오 뱅크를 추천하는 이유는
이자도 저렴한 편이지만
무엇보다 중도상환시 수수료가 없다는 점!!
아주 큰 장점으로 작용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직접 은행을 방문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많은 청년, 사회초년생 분들에게
부담이 적을 것 같아요.
자, 그렇다면
카카오 뱅크를 통해
손쉽게 나의 대출한도와 금리를 확인해 보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카카오뱅크 어플을 엽니다.
카카오뱅크 계좌도 비대면으로
손쉽게 만드실 수 있으니
계설하시면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먼저 카카오뱅크 어플을 엽니다.
오른쪽 아래쪽에 전체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다양한 서비스 종류가 나오는데
그 중에서 전월세보증금 대출을
선택해 주세요.
그러면 이렇게 전월세 대출에 관한 정보가 나옵니다.
노란색 박스안에 보시면
소득이 없거나 재직기간이 짧아도
만19-30세 청년이라면
대출이 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앞에서 언급했다시피
카카오 뱅크의 가장 큰 장점은
비대면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의 경우
최대 90%까지 대출되고
7천만원 한도로 대출이 가능합니다.
청년들에게, 혹은 취준생들에게
참 좋은 상품입니다.
그렇다면 청년전월세 대출금을
이용할 수 있는 자격요건은?
① 잔금일 기준 만34세 이하
② 근로소득자(재직기간 무관), 사업소득자, 기타소득자, 무소득자
③ 본인 또는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원 이하.
사실 대부분의 청년들이라면
이 조건에 부합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더 이런 서비스를 활용해야겠죠?
다음으로 넘어가면
기본적인 대출 내용에 대한 안내가 나옵니다.
꼼꼼하게 다시 한번
읽어보시고
서비스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카카오뱅크에서 대출신청을 할 경우
이와 같은 단계로 진행이 됩니다.
한도와 금리조회를 먼저 실행한 후
대출을 신청하기로 했다면
관련서류를 제출하게 되고
대출계약서를 작성한 후
대출을 실행하게 됩니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은 과정이기에
너무 처음부터 겁을 먹지 않으셔도 됩니다.
많은 청년들의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이자 서비스라서
활용하라고 만든것이니
대출이라고 겁먹지 않아도 된다는 것.
꼭 말씀드리고 싶네요.
안내사항들을 읽어보았다면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그러면 상품설명서와 동시에
개인정보 조회 등에 동의하는 절차를 거칩니다.
동의에 체크하고 다음을 눌러줍니다.
다음으로 실명인증을 하는데요.
(요즘 푹 빠진 배우인 안효섭을 예시로 넣어보았습니다 ㅋㅋㅋㅋ)
이름과 주민번호 입력 후
실명정보를 확인 합니다.
자, 여기가 메인 페이지입니다.
집중하셔서 보시길 바랍니다.
먼저 계약과 재계약을 구분합니다.
처음 신청하시는 분들이라면 계약을 선택
(재계약은 인상된 계약금만큼만 대출 가능)
그리고 계약방식을 설정하는데요
보통 공인중개업소를 통해서 계약하기 때문에
공인중개업소를 선택하시면 되고
개인간의 거래는 대출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집종류를 선택합니다.
아파트도 있지만
사실 청년들에게 아파트 전세는 부담이긴 하죠.
저는 예시로 빌라를 선택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집의 위치 (수도권/비수도권) 선택 후
보증금을 입력합니다.
예시로 9천만원을 입력하였고
잔금일은 실제 잔금일을 기입하셔도 되고
단순히 조회만 하시는 분들이라면
3개월 이내의 아무날짜나 입력하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소득정보를 입력합니다.
근로소득/사업소득/기타소득 등을 선택해주고
근로소득자라면 입사연일과 연봉을 기입해줍니다.
아주 현실적으로 기입해보았씁니다....
연봉 2천.....ㅜㅜㅜ
다음으로는 결혼 및 주택정보를 입력합니다.
무주택자가 아니면 대출이 제한될 수 있다는 점.
미리 알아세요.
이렇게 설정 한 후
저의 대출한도와 금리가 확인됩니다.
보통 청년대출의 경우
90%까지 대출이 가능하나
한도가 7천만원이기 때문에
7천만원이 한도로 조회가 되었네요.
그리고 바로
중요한 예상금리!!!
2.48%입니다.
어디서 이런 저렴한 금리를 찾을 수 있겠어요!
청년대출이 아니라면
보통 금리는 2.7~3.0% 정도로 나옵니다.
청년이기에 받을 수 있는 혜택입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월세보다는 전세를 추천합니다.
월세는....
다시 돌아올 수 없는 돈이잖아요.
그리고 월세보다 전세대출 이자금이 훨씬 저렴합니다.
물론 무일푼이라면
대출이 계약금의 90%까지 가능하기때문에
남은 10%를 채우지 못한다면
전세계약을 하기가 어렵겠죠...
하지만 나머지 10%는 다른 대출을 이용할 수도 있고
조금 더 허리띠를 졸라서
마련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월세 30만원이라 가정했을 때
2년을 산다면
30만*24개월 = 720만원
전세대출을 할 경우
(계약금 7천만원 일 경우)
7천만원*2.48% = 347만 2천원
이자를 매달 분납한다고 가정한다면
한달에 15만원 가량!!!
지출이 절반이나 감소합니다.
보통 많은 사회초년생들이
월세때문에 돈을 모으지 못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이참에 전세로 가겠다는 계획.
세워보는게 어떨까요?
감사합니다.
'내일을 위한 >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핫한 체크카드/ KB국민 펭수 체크카드 (2) | 2020.03.15 |
---|---|
사회초년생을 위한 신용카드 추천 (2) | 2020.03.08 |
케이뱅크VS카카오뱅크 비교해보기 (0) | 2020.03.04 |
신용? NO, 알찬 혜택의 체크카드 추천 (2) | 2020.03.01 |
[청년정책] 청년우대형 주택청약 저축 총정리 (4) | 2020.02.27 |
사회초년생 신용카드 혜택 비교하기 (4) | 2020.02.24 |
내집마련, 주택청약으로부터 시작된다! (2) | 2020.02.20 |
광역알뜰교통카드로 교통비 절약하기!! (0) | 2020.02.18 |